16일, 북한석탄대책TF 위원장실 유기준 의원실이 확보한 관세청 통합화물정보 서류에 따르면 지난해 10월 북한산 석탄을 싣고 입항한 ‘진룽호’에 선적된 석탄의 ‘송하인(물건 보낸 사람)’ 그리고 물건을 받는 ‘수하인’과 ‘통지처’ 정보란 모두 숫자 ‘1’만 기재돼있어 의혹을 낳고 있다.
일반적으로 송하인과 수하인에는 화물을 수출하거나 수입하는 회사명을 적는다. 통지처도 마찬가지다. 하지만 이 서류에 따르면 진룽호에 석탄을 보낸 측도 '1', 받는 측도 '1'인 셈이다.
유 의원은 “해상 변호사로 오랫동안 활동해왔지만 송ㆍ수하인 목록이 모두 비어 있는 것을 본 적은 처음이다. 도대체 무엇을 감추려고 했는지 궁금하다”고 말했다.
관계기관의 조사에 따르면 진룽호가 싣고 온 북한산 석탄 4584t은 지난해 7월21일 북한 대안항에서 ‘릉라2호’에 실려 러시아 홀름스크항으로 이동했다. 3개월 뒤 진룽호는 이 석탄을 싣고 강원 동해항으로 입항했다. 관세청은 진룽호가 싣고 온 석탄이 북한산으로 의심된다며 3개월 간 항구에 묶어놨다가 올해 2월 반입을 허용했다.
한국당은 송ㆍ수하인 정보가 누락된 건 물론이고 북한산으로 의심된다며 조사까지 벌인 상황에서 지난 2월 석탄이 국내로 반입된 배경에 의문을 제기했다.
관세청이 밝힌 7차례의 북한산 석탄 반입 건 가운데 진룽호는 유독 논란에 자주 오르내리고 있다. 그만큼 많은 의혹이 제기되고 있어서다.
국내 반입 당시 제출하도록 돼있는 ‘성분 시험 성적서’도 위조된 것으로 이미 밝혀졌다. 남동발전 측이 자체적으로 해 대구세관에 제출했던 성분 분석 자료도 엉터리였다. 발열량이 500㎉ 이상 부풀려졌다는 지적에 남동발전 측은 “직원의 단순 실수”라고 해명했다.
문재인 대통령은 더이상 모른척 할 상황이 아니다. 눈으로 보이는 문제점들이 이렇게 수두룩한데 "좋은게 좋은거지"라며 넘어갈 수 있는 상황이 아니란 말이다.
관세청에 까막눈만 모여 있는게 아니라면 숫자와 이름 그리고 공란은 구별해야되는 것 아닌가? 이러한 행위에도 의문을 갖지 않는다면, 그야말로 총체적 난국이다. 하루빨리 국정조사가 필요해 보인다.
'정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해찬 또 "고용악화, 이명박·박근혜 정부 탓", "2021년까지 최저임금 1만원 예상" (14) | 2018.08.19 |
---|---|
이낙연 국무총리, "리룡남 (북한)내각부총리 내가 먼저 손 잡았다" '자랑' (4) | 2018.08.19 |
박근혜 대통령의 "간절히 원하면 온 우주가 도와준다", '사이비 신도설'의 전말 (13) | 2018.08.18 |
노무현 아들 노건호 학력 논란 '동국대 경주 캠퍼스 에서 스탠포드로 껑충' (11) | 2018.08.18 |
더불어민주당 송갑석, "북한이 '납북자'라는 단어를 싫어하니 법률을 개정해서 '실종자'로 바꾸자." (2) | 2018.08.18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