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7일, 업계에 따르면 버거&치킨 브랜드 ‘맘스터치’는 지난 5월 경기 파주와 전남 여수 등 중소도시 매장 20여곳을 시작으로 키오스크를 본격 도입했다. 점원과 대면하지 않고도 원하는 메뉴 주문부터 매장 식사, 포장 여부 등을 자유롭게 선택할 수 있다. 결제 방법도 신용카드·교통카드 등 다양하다. 

맘스터치 관계자는 “전국 1130여개 가맹점 가운데 입지와 인력 현황 등을 검토해 앞으로 도입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그만큼 인력을 쓰지 않겠단 것이다.

지난달 SPC그룹이 운영하는 던킨도너츠가 새롭게 선보인 ‘던킨도너츠 강남본점’은 정보통신(IT) 기술을 활용한 다채로운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다. 

24시간 운영하는 ‘스마트 머신’을 비치해 언제든지 주요 메뉴를 맛볼 수 있도록 하고 무인 주문 시스템(디지털 키오스크), 무료 포토 부스 등을 마련, 색다른 경험을 선사한다. 실내 공기 질을 실시간으로 파악해 개선하는 공기청정 시스템도 도입했다. 

이렇듯 식품 및 외식업계가 키오스크(Kiosk) 등 소비 성향을 만족시키기 위한 다양한 IT 기술을 적용하고 있다. 특히 내년 최저임금 인상을 앞두고 인건비 절감을 위한 대응책 마련에 분주한 모습이다. 대표적인 게 키오스크 도입 확산으로, 고객 편의 증대와 함께 가맹점주들의 운영 효율도 지원하는 ‘일석이조 효과’를 노리고 있다. 

롯데리아 역시 무인화 작업에 속도를 내고 있다.  현재 롯데리아 전국 1340여곳 매장 가운데 리조트·휴게소 등 특수 점포와 지방 소규모 매장을 제외하고 키오스크를 들여놓은 매장은 총 760여곳이다. 전국 매장 수의 50%가 넘는 수치다.

이에 따라 전체 매출 가운데 계산원을 거치지 않고 나오는 ‘무인 매출’ 비중이 2015년 8.6%에서 지난해 24.1%, 올해 3월 기준 약 40%에 달하는 등 가파르게 상승하고 있다.

롯데리아 관계자는 “키오스크 도입 여부는 각 가맹점 점주들이 신청하는 구조이기 때문에 올해 몇 대 더 늘릴지는 예상하기 어렵다”면서도 “최근 성장세를 봤을 때 연내 무인 매출 비중이 50%는 넘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외식 프랜차이즈 ‘김가네’도 최근 가맹점주들을 대상으로 한 ‘2018 신메뉴 및 마케팅 교육’ 현장에 키오스크 시스템 체험존을 마련했다. 최근 변화한 외식 트렌드를 반영, 가맹점의 선택 사항을 다양화할 수 있게 한다는 취지에서다. 여기에 한솥도시락 등 대부분의 외식 기업들이 무인 계산기에 눈을 돌리고 있다.

이렇듯 문재인 정부의 인건비 인상과 임대료 상승 등이 맞물리면서 무인화 작업이 더욱 가속화 할 것으로 보고 있다. 인건비 부담에 비해 키오스크 유지비가 경제적 부담이 덜하기 때문이다. 키오스크의 월 유지비는 약정 기간에 따라 24개월짜리는 월 15만원, 36개월짜리는 월 23만원이다. 

업계 관계자는 “키오스크를 도입하면 매장 1곳당 파트타임 직원 1.5명이 줄어드는 효과가 있다”며 “비용면으로 따지면 월 최대 300만원을 아낄 수 있는 셈”이라고 설명했다.

문재인 정부가 내놨던 일자리 정책들, 저녁이 있는 삶, 최저임금 대폭 인상... 그러나 문 정부는 이 부분까진 내다보지 못했나 보다. 기업들, 점주들 입장에선 "그 비싼 인건비를 주고 사람을 쓸 필요가 없다"는 간단한 공식을 문 정부만 모르고 있었다니 참 아이러니하다.

외식업계가 이 부분에 있어서 인건비 절감 효과를 톡톡히 본다면 가까운 미래에 사람이 해야 할 일을 그보다 값싼 기계가 대체할 상황이 벌어질 것이란 것은 불 보듯 뻔한 일이다.

이제 슬슬 문재인 정부도 일자리 32만명이 불가능한 수치란 것을 깨달았는지 18만으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17조원이란 어마어마한 국민혈세를 공중분해 시키면서 말이다. 문 정부와 함께 해야 될 대한민국의 미래가 뿌옇기만 하다.

18일, 문재인 정부가 내놓은 ‘하반기 이후 경제여건 및 정책 방향’을 보면, 올해 경제성장률은 지난해 3.1%에서 하향 조정된 2.9%로 전망해 기존 ‘3.0% 성장률’ 달성 목표를 수정했다.

올해 취업자 증가 폭은 애초 32만 명 증가 목표에서 18만 명으로 대폭 하향 조정했다. 올해 상반기 취업자 증가 폭은 14만2000명으로 2009년 하반기(2만8000명 감소) 이후 가장 적었다. 돈은 17조원이나 쏟아 부었는 데, 이상한 일이다.

현 정부 출범 이후 일자리 본예산 외에 추가로 투입한 예산은 지난해 추가경정예산(추경·11조 원)과 올해 일자리 안정자금(3조 원 이상), 올해 청년 일자리 추경(3조8000억 원) 등 17조 원이 넘는다. 그러나 고용 악화를 해결하지 못해 올해 수정된 취업자 증가 폭마저 달성할지 의문이 제기되고 있다. 최악이다.

그리고 경기의 미래를 나타내는 설비와 건설투자도 빨간불이다. 정부는 설비투자가 지난해 14.6%에서 올해 1분기 7.3%로 반 토막 났고, 연간으로는 1.5%로 급락할 것으로 내다봤다. 더 충격적인 것은 내수 경기에 민감한 건설투자의 감소 폭이다. 지난해 7.6%에서 올 1분기 1.8%, 올 연말에는 -0.1%를 기록할 것으로 정부는 전망했다. 

또한 미·중 무역전쟁과 국제유가, 환율 변동 등의 불확실성이 증대되면서 경상수지도 악화할 것으로 나타났다. 경상수지는 지난해 785억 달러에서 18% 줄어든 640억 달러로 내다봤다. 국제 유가(두바이)는 지난해 평균 53달러에서 올해는 70달러로 전망했다. 

문재인 정부는 일자리 정부를 표방해 17조 원이 넘는 재정(국민 혈세)을 추가로 쏟아붓고도 취업자 증가 목표를 절반으로 낮춘 것은 아무리 좋게 봐줄래야 봐줄 수가 없다.

국민들 귀에 듣기 좋은 말만 잔뜩 하고 '적폐청산'을 외치며 출범한 문재인 정부... 공약은 하나하나 파기해가며, 경제도, 안보도, 청렴함도 바닥을 뚫고 달리는 중이다.

11일, 통계청이 발표한 '2018년 6월 고용동향'에 따르면 6월 실업자는 전년동월대비 2만6000명 감소하는 데 그쳐 103만4000명으로 집계됐다. 취업자 증가폭은 5개월 연속 10만명대에 그쳤다. 이를 두고 빈현준 통계청 고용통계과장은 "인구증가 규모 둔화" 즉, 출산율 저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실업자 수가 6개월 연속 100만명대를 기록했다."


이는 올 1월 102만명을 기록한 이후 6개월 연속 실업자 수가 100만명대를 기록했다. 20대를 제외한 30대, 40, 50대에서 모두 실업자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다.

실업률은 3.7%로 전년동월대비 0.1%포인트(p) 하락했다. 15~29세 청년 실업률은 9.0%로 전년동월대비 1.4%p 하락한 것으로 조사됐다.

취업상황은 여전히 심각했다. 6월 취업자는 2712만6000명으로 전년동월대비10만6000명 증가에 그쳤다.

취업자 증가폭은 올 2월부터 5개월 연속 10만명대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다. 5월에는 취업자 증가폭이 7만2000명으로 급감한 바 있다.

이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겪은 2008년 9월부터 2010년 2월까지 18개월 연속 10만명대 이하를 기록한 이후 최장 기록이다.

15~64세 고용률도 67.0%로 전년동월대비 0.1%p 하락하면서 악화된 고용상황을 뒷받침했다. 고용률은 올 2월 0.1% 감소 이후 5개월 연속 감소세다.

이에 대해 빈 과장은 "최근에 '인구증가 규모'가 둔화되고 있고 경기 영향을 받는 제조업, 교육서비스업 취업자 감소폭이 확대되면서 10만명대 증가에 그쳤다"고 말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