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국 경제가 호황에 접어들어 완전 고용에 가까울 정도로 실업률이 떨어지면서 미국 연방수사국(FBI)도 예상치 못한 구인난에 시달리고 있다. 실업률이 급감하자 인재 유치를 위해 높은 연봉과 좋은 대우를 제시하는 기업들도 많아졌기 때문이다.

이에따라 FBI는 최근 요원 채용에 핵물리학자의 지원을 독려하기 위한 광고를 제작했다. 과학기술 전문가, 외국어 능통자 등 품귀 현상이 벌어지고 있는 분야에서 인재들을 확보하기 위한 것이다.

14일, FBI 텍사스주 앨버커키 지부 채용팀은 트위터에 “가설, 실험, 분석, 결과. 범죄 수사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 실험실의 호기심을 거리로 가져올 준비가 돼 있나요?”라고 적으면서 뉴멕시코대에서 열리는 2019년 채용 박람회에서 지원자를 기다리고 있다는 메시지가 담긴 광고를 올렸다.

이를두고 월스트리트저널(WSJ)은 “탄탄한 노동시장 때문에 FBI가 전에는 거의 하지 않았던 공격적인 인재 채용에 나서고 있다”고 24일 전했다.

2018 회계연도(2017년 10월∼2018년 9월) FBI 요원 지원자는 1만1500명으로 2009 회계연도(6만8500명)의 약 6분의 1 수준으로 떨어졌다. 연간 900명 정도를 채용하는 FBI는 양질의 요원을 선발하기 위해서는 지원자가 최소 1만6000명은 돼야 한다고 보고 있다. 하지만 3년 연속 지원자 수가 이 기준을 밑돌자 특단의 대책을 마련했다. 피터 서시 FBI 채용 담당자는 “노동시장에 자격 요건을 갖춘 사람보다 일자리가 더 많아져 고용자들이 사람을 뽑기 힘든 상황이어서 경쟁력을 높이려고 채용 전략을 수정했다”고 말했다.

미국이 법정 의무 정년 제도를 폐지했지만 FBI 요원의 정년은 여전히 57세다. 근속 20년이 넘어야 연금을 수령할 수 있다는 점도 지원자들이 FBI 지원을 꺼리는 요인으로 꼽힌다. 

게다가 FBI는 로버트 뮬러 특검의 러시아 대선 개입 수사 등 정치적으로 민감한 수사를 벌이면서 정치적 외풍에 시달리고 있다.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은 이 수사를 ‘마녀사냥’이라고 비판하고 있다. 2017년엔 트럼프 대통령이 제임스 코미 FBI 국장을 해고하는 일까지 벌어졌다. 정치적 외풍까지 불면서 FBI 인기가 예전만 못해진 것이다. 특별수사관 업무에 흥미를 가지는 이들이 예전처럼 많지 않다는 분석도 나온다.

FBI는 결국 인재 유치를 위해 채용 제도를 전면 손질했다. 지원자에게 요구했던 3년의 직장 경험을 2년으로 줄이고 채용 과정에서 지원자의 어려움을 덜어주는 ‘눈높이 채용 서비스’도 시작했다. 관심을 보인 사람들에게 지원서 제출을 독려하거나 전직 요원들에게 후보 추천을 부탁하고 나섰다. 심지어 체력 검정 통과 요건에 미치지 못한 사람도 지원할 수 있게 허용하고 체력 테스트 합격을 위한 훈련 지침까지 제공하고 있다. 

요원의 67%가 백인으로 구성된 FBI는 여성과 소수계, 기업 경영자 등 과거 요원의 이미지와는 거리가 멀었던 이들을 집중 공략하고 있다. 이들의 지원을 독려하는 ‘뜻밖의 요원’ 채용 캠페인(#UnexpectedAgent)도 시작했다. WSJ는 FBI 공식 통계를 인용해 “지난해 1만1500명의 지원자 중 47%가 소수계, 26%가 여성이었다”며 “새로운 채용 캠페인을 시작한 지난해 10월 1일 이후 1만3000명이 지원했다”고 소폭의 증가 움직임을 전했다.

반면 대한민국 경제는 문재인 대통령 집권 후 무한 침체기를 맞고 있다. 더군다나 문 대통령은 중국몽을 꿈꾼다며 시진핑과 함께 하겠다는 뜻을 내비쳐 미국과 무역전쟁에서 밀린 중국으로 인해 역풍의 위험성도 떠안게 되었다.

그렇다고 중국이 사드문제로 혐한정책을 거둔 것도 아니다. 여전히 그 피해는 대한민국이 받고있다. 이제 미북회담 이후 선택의 시간이 왔다. 지나친 친중으로 미국과 멀어질 것인지 아님 그 관계를 회복할 것인지..


10일(현지 시각), 한국 정부가 5·24 조치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밝힌 것에 대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한국이 미국의 승인 없이는 대북 제재를 해제하지 않을 것"이란 견해를 밝혔다. 

5·24 조치는 2010년 3월 26일 북한의 천안함 폭침 도발에 대응해 우리 정부가 취한 대북 제재로, 남북 교역과 대북 신규 투자 금지, 대북 지원 사업의 원칙적 보류 등이 주요 내용이다.

앞서 강경화 외교장관은 10일(한국 시각) 국회에서 국회 외교통일위원회의 외교부 국정감사에서 ‘5·24 조치를 해제할 용의가 있나’라는 이해찬 더불어민주당 대표의 질문에 "관계 부처와 검토 중인 것으로 알고 있다"고 답했다. 정부가 5·24 조치 해제를 검토 중이란 의미의 강 장관 발언에 야권에선 즉시 비판이 쏟아졌다. 주무 부처가 아닌 외교부 장관의 발언으로 부적절하다는 질타에 강 장관은 "범정부 차원에서 검토한다는 말은 아니었다"며 사과한  바 있다.

이후 백악관에서 취재진은 ‘한국이 독자 대북 제재의 해제를 검토하고 있다’고 묻자 트럼프 대통령은 "그들(한국)은 우리의 승인 없이 그렇게 하지 않을 것"이라고 답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와 관련해 한국 정부와 대화를 했나’라는 추가 질문에 "그렇다"고 답하며 "그들은 우리의 승인 없이 아무것도 하지 않는다"고 재차 강조했다. 

미 국무부는 한국 정부의 5·24 조치 해제 검토에 대한 미 자유아시아방송(RFA)의 논평 요청에 "트럼프 대통령은 (대북) 제재 완화는 비핵화 후에 이뤄질 것이란 점을 매우 분명히 해왔다"는 입장을 밝혔다.


11일(현지 시각), '워터게이트' 사건 특종 기자인 밥 우드워드가 집필한 '공포, 백악관의 트럼프'에서 트럼프 대통령이 과거 수차례 통화에서 문재인 대통령에게 한·미 FTA 관련해 비판적으로 몰아쳤다고 적었다.


- 트럼프 대통령, 문재인 대통령 '호통?', 하찮게 여기기도...

책에 따르면 트럼프 대통령은 지난 1월 19일 문 대통령과 나눈 통화에서 "180일 안에 FTA를 폐기하는 서한을 보내고 무역 관계를 파기하고 싶다. 당신들은 우리에게 (돈을) 뜯어내고 있다"고 했다. 또 사드에 관해서도 "당신들은 사드 시스템에 비용을 지불해야 한다. 우리가 왜 사드를 거기 갖다 놓아야 하느냐"고 언성을 높였다고도 적었다.

이에 문 대통령은 "무역과 안보는 얽혀 있는 것이다. 경제적 관계에 일부 오해가 있을지 모르지만 결국은 서로 이해에 도달하기를 원한다"고 했다. 우드워드는 이 언쟁을 전하며 트럼프 대통령이 한·미 FTA와 한국, 문 대통령을 하찮게 여겼다(belittled)고 적나라하게 표현했다.

허버트 맥매스터 전 백악관 국가안보보좌관이 사드 철수를 주장하는 트럼프를 달래기 위해 "우리가 (사드 배치) 땅을 99년간 무상으로 임차했고, 좋은 거래였다"고 했지만, 트럼프 대통령은 지도를 본 뒤 "쓸모없는 땅"이라며 "이런 망할, 당장 미국으로 빼"라고 했다는 내용도 나왔다.

작년 7월 펜타곤에서 열린 회의에서도 트럼프는 "그딴 것(주한 미군) 필요 없다. 없어도 아기처럼 잠만 잘 잘 것"이라며 "주한 미군이 왜 거기 있는지 모르겠다. 다 집으로 데려오라"고 했다고 한다.

존 켈리 백악관 비서실장과 맥매스터 전 보좌관, 렉스 틸러슨 당시 국무장관 등은 '대통령이 중국·러시아·이란·시리아·북한보다 한국에 대해 더 노여움을 표현한 건 이해할 수 없다'는 농담을 주고받았다고 우드워드는 적었다.


- 맥매스터 '선제 공격', 그레이엄 "김정은 죽이고...

우드워드는 맥매스터 전 보좌관이 작년 7월 "만약 북한을 공격할 것이라면 핵과 미사일이 더 고도화되기 전에 하는 것이 낫다"고 말했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맥매스터가 대북 선제공격에 부정적인 사람들에게 "로스앤젤레스에 버섯구름이 피어오르는 것을 보고 싶으냐"고 말했다고 했다.

또 대북 강경파인 린지 그레이엄 상원의원이 지난해 9월 백악관에서 존 켈리 비서실장과 맥매스터 전 보좌관에게 "중국이 그(김정은)를 죽이고 중국이 조종할 수 있는 북한 장성으로 교체하도록 해야 한다"는 '극적 제안'을 했다고도 했다.

우드워드의 책은 벌써 7쇄 주문에 들어갔고, 단숨에 아마존 베스트셀러 순위 1위에 올랐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