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대통령이 오는 5일 대북 특사를 파견하는 것과 관련해 YTN의 논평 요청에 미 국무부 헤더 나워트 대변인은 "남북관계 발전은 반드시 북한 비핵화 진전과 보조를 맞춰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날 헤더 나워트 대변인 명의로 "미국과 동맹인 한국, 일본은 대북 공동대응을 위한 긴밀한 협력을 약속했다"며 이같이 밝혔다

이어 문 대통령이 언급했듯 남북관계 개선은 북한 핵 프로그램 문제의 해결과 별개로 진전될 수 없다는 입장을 재확인했다.

국무부는 또 폼페이오 국무장관이 지난 7월 아시아 순방에서 분명히 했듯 "우리는 김정은 위원장이 동의한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북한 비핵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북한에 대한 외교적, 경제적 압박을 유지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은 이번 북한과의 협상이 실패할 경우를 대비해 새로운 대북 제재 법안 발의와 여러 전략들을 구상 중이다.

또한 미국은 북한을 강하게 압박하는 동시에 문재인 정부에 대한 경계도 늦추지 않고 있다. 그리고 비핵화 최종시한을 11월로 보고 있다. 미국의 반대를 접한 문 대통령이 과연 어떤 결정을 내릴지 이목이 집중되고 있는 이유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