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2일,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VOA(미국의소리)와 인터뷰에서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는 비핵화, 즉 CVID 이외에는 수용하지 않겠다"면서 조선신보의 '단계적 비핵화' 주장에 정면 반박했다.
그러면서 "국무부는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서명한 공동성명은 개방적이고 정직한 논의의 출발점"이라고 밝혔다.
이날 국무부 관계자는 "트럼프 대통령은 모든 사안을 한 번의 만남을 통해 해결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하지 않았다는 점을 분명히 했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이어 "공동성명은 북한을 완전하고 검증 가능하며 되돌릴 수 없게 비핵화하려는 절차의 시작"이라며, "CVID에 못 미치는 결과는 받아들이지 않을 것"이라고 강조했다.
앞서 조총련 기관지 조선신보가 "북한에 대한 일방적 핵 폐기 요구는 통하지 않을 것"이라고 주장한 바 있다.
이날 북한 당국의 입장을 대변하는 조선신보는 ‘허용 안되는 배신’이라는 제목의 글에서 미-북 회담을 진행 중인 북한으로서도 미국의 이란 핵 합의 탈퇴에 무관심할 수 없다며 이같이 주장했다.
이에 대해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이에 대해 북한이 비핵화하기 위한 구체적인 행동을 취할 때까지 제재의 효력은 완전히 유지된다고 확인했다.
그러면서 “우리가 이 지점까지 온 것은 국제사회가 채택한 유엔 안보리 결의를 완전히 이행했기 때문”이라며 이는 “이번 절차가 성공적인 결과를 맺도록 보장할 것”이라고 말했다.
또 "미-북 정상회담의 결과를 이행하기 위해 최대한 빠른 시일 내에 마이크 폼페오 국무장관이 이끄는 후속 협상이 이뤄지길 고대한다"고 덧붙였다.
한편 미-북 관계 개선에 따라 북한을 여행 금지 대상국에서 해제할 계획이 있느냐는 VOA의 질문에 이 관계자는 "북한을 ‘여행금지’ 국가인 ‘레벨(level) 4’로 분류한 국무부의 북한여행 경고에 변화가 없다"고 답했다.
이어 "해외에 있는 미국 시민의 안전은 미국의 최우선 순위 중 하나라며, 국무부의 ‘지리적 여행 제한(geographic travel restriction)’ 조치는 북한에 입국하거나 경유할 때 미국 여권 사용을 금지한다"는 점을 상기시켰다.
앞서 국무부는 미국인 대학생 오토 웜비어가 북한에 억류됐다가 혼수상태로 풀려난 뒤 숨지자 지난해 9월 1일부로 북한에 대한 여행 금지 조치를 취한 바 있다.
'정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악] 전교조, "김일성은 민족 영웅이야", "우리나라가 가야할 길은 사회주의" (6) | 2018.06.23 |
---|---|
'경축' 트럼프, "대북 제재 연장하기로 했다." (1) | 2018.06.23 |
이산가족 상봉 관련 회담에서 또 '탈북 여종업원 북송 문제'를 거론한 '북한' (0) | 2018.06.23 |
문재인 정부는 교과서에서 '자유'를 왜 뺏을까? 교육부, 2020년 중.고교 교과서 ‘자유민주주의’ -> ‘민주주의’ (0) | 2018.06.21 |
국민 돈 펑펑 쓸 준비 되셨습니까? 더불어민주당, "재정 상상 이상으로 풀어라" 김동연, "yes sir" (0) | 2018.06.2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