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5일, 유엔 인권최고대표사무소(OHCHR)에 따르면 토마스 오헤아 킨타나 유엔 북한인권 특별보고관은 최근 유엔총회에 제출한 보고서를 통해 남북, 미·북 정상회담에서 북한 인권과 관련한 합의가 이뤄지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했다.

이날 킨타나 보고관은 지난 19일 배포한 '북한 인권 상황 보고서'에서 "판문점 선언과 (6·12) 미·북 공동성명 어디에도 인권 관련 용어가 포함되지 않은 것은 유감"이라고 밝혔다.

킨타나 보고관은 또 "평화·안보·비핵화 의제를 구성하는 일부로서 (북한) 인권 상황에 대한 논의가 진행되기를 강력하게 바란다"며 "인권 문제를 제기하는 것은 지속 가능하고 포괄적인 평화협상을 보장하는 길이지, 협상에 걸림돌이 되는 것은 아니라고 확신한다"고 꼬집었다.

앞서 지난 18~20일 남북 정상회담 때 발표된 '평양 공동선언'엔 북한 인권 문제가 담겨 있지 않다.

킨타나 보고관은 이 보고서에서 우리 정부가 최근 탈북 북한 식당 여성 종업원들에게 여권을 발급한 데 대해선 높게 평가했다. 그는 "(나는) 이들 여성과 그 가족의 권리를 존중하는 데 최대한의 우선순위가 부여돼야 한다고 강조해 왔다"고 강조했다.


22일, 금강산에서 열린 적십자회담에서 남.북은 2년 10개월 만의 이산가족 상봉 행사를 열기로 합의했지만, 남측은 '북한에 억류된 우리 국민 6명의 석방 문제'는 쉬쉬하고 오히려 북측이 '탈북 여종업원 북송 문제'를 거론해 일명 '북한 눈치보기' 논란이 또 일고 있다.

이날 오전 10시부터 저녁 7시 24분까지 남북은 회담을 진행했다. 전체회의 1회, 수석 대표 접촉 1회, 대표 접촉 2회, 종결 회의 1회 등 모두 5회 만나 공동 보도문에 합의했다.

회담 종료 후 일문일답에서 우리 측 수석 대표인 박경서 대한적십자사 회장은 "(오늘 회담에서) 8·15 이산가족 상봉 외에 생사 확인부터 시작해서 정례적으로 만나고 심지어 성묘까지 가고 화상 상봉을 하든지 고향 방문단을 만든다는 것까지 쭉 내가 (북측에) 얘기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북측은 일반 주민이 남측과의 접촉 면이 넓어지는 데 대해 부담을 느끼는 듯, 소극적인 반응을 보인 것으로 알려졌다.

그런데 이날 회담에서 북한은 오히려 탈북 여종업원 문제를 거론한 것으로 알려졌다. 작년부터 북한은 2016년 4월 중국 내 북한 식당에서 일하다 한국으로 귀순해 온 여종업원 12명의 송환 없이는 이산가족 상봉은 없다고 압박해 왔다. 하지만 북측은 4·27 남북 정상회담에서 이산가족 상봉 행사가 합의된 것을 의식해 강하게 요구하지는 않았다.

회담 종결 후 브리핑에서 '북측이 여종업원 송환 문제를 제기했느냐'는 질문에 박경서 한적 회장은 "8·15 이산가족 (상봉) 문제를 중점적으로 다뤘기 때문에 그 문제가 구체적으로 어떻게 됐다고 언급하는 건 전체 물결 속에서 별 도움이 되지 않는다"고 부정은 하지 않았다. 북측 대표단장인 박용일 조국평화통일위원회 부위원장은 이와 관련한 질문에 답 조차 하지 않았다.

우리 측도 북한에 억류된 우리 국민 6명의 석방 문제를 제기한 것으로 알려졌다. 박 회장은 "(억류 국민) 그런 문제들을 제기했는데 지금 그거 하나하나를 (설명)하는 건 긴 여정을 가는 데 조금 조심스럽다"고 했다.

이번 회담 개최 8시간 전인 22일 새벽 2시쯤 북한은 대표단 명단을 우리 측에 '통보'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