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일(현지시간), 뉴욕에 본부를 둔 민간단체 ‘인권재단’(HRF)은 북한 내각 기관지 ‘민주조선’이 최근 USB(메모리 막대기)를 통해 외부 정보를 북한에 보내는 미 단체의 운동을 강하게 비난했다.

이날 HRF는 "북한 정권의 이런 반응은 막대한 규모의 외부 정보 파급을 두려워하는 속내를 입증하는 것"이라며 "정보 유입 운동을 확대할 것"이라면서 이같이 밝혔다.

이 단체의 게리 카스파로프 이사장은 “김정은과 그의 측근들이 북한에 자유를 촉진하기 위한 인권재단의 노력을 인식하고 비난한 것은 처음이 아니지만, 캠페인 이름(Flash Drives for Freedom)을 직접적으로 호명한 게 놀랍다”고 말했다.

실제로 지난 5일 북한 관영 ‘조선중앙통신’은 ‘민주조선’보도를 자세히 전하며 “뉴욕에 위치하고 있는 미국의 어느 한 모략기관은 여러 단체들과의 협력하에 자유를 위한 플래쉬 드라이브 활동을 개시하였다”고 전했다.

그러면서 이는 “적대세력들의 반공화국 모략책동이 극히 위험한 단계에 이르렀다는 것을 실증해 주고 있다”고 주장했다.

또 “부르죠아사상문화를 대대적으로 류포(유포)시켜 조선인민의 자주의식을 마비시키고 우리식 사회주의를 내부로부터 허물어보자는 것”이라며 이를 “사상공세”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인권재단의 카스파로프 이사장은 북한 정권의 이런 주장은 오히려 “(운동의) 주목할 만한 발전이자 대규모의 정보를 북한에 보내는 우리의 노력이 파급을 미치는 것을 정권이 두려워하는 증거”라고 지적했다.

이 단체의 알렉스 글래드스타인 전략기획실장도 앞서 VOA에 "북한 주민들은 날마다 정부의 거짓 심리적 선전·선동에 세뇌되고 있다"며 "진실된 외부 정보를 통해 북한 주민들을 깨워야 한다"고 말한 바 있다.

이날 보도자료에서 이 단체는 2009년부터 북한에 정보를 보내는 탈북민들을 지원하고 있다고 소개했다.

탈북민들을 국제인권포럼(오슬로포럼)과 미국의 대표적인 첨단기술 요충지인 실리콘밸리에 초청해 투자가와 기술자들의 협력을 통해 대북 정보 유입 활동을 돕고 있다 것이다.

특히 2016년부터 외부 정보를 북한에 보내는 ‘자유를 위한 플래시 드라이브’ 운동을 통해 팝문화와 뉴스, 영상 등을 USB에 담아 북한 주민들에게 보내고 있다고 설명했다. 플래시 드라이브는 컴퓨터 휴대용 저장장치로 북한에서 ‘메모리 막대기’로 불리는 이동형 저장장치 USB가 대표적이다.

인권재단은 전 세계로부터 기부를 받아 탈북민 단체들의 전문성을 통해 북한에 7만 개 이상의 USB를 보냈다고 소개했다. 그러면서 북한으로 더 많은 정보를 보낼 수 있도록 USB를 기부해 달라고 당부했다.

지난 4일, 마이클 커버 전 유엔 북한인권조사위원장은 VOA와의 인터뷰에서 이런 정보로부터 사회주의 모기장을 더 든든하게 쳐야 한다는 북한 정부의 주장에 대해 “인간의 자유로운 생각을 막을 만큼 강력한 모기장은 이 세상에 없다”고 말하기도 했다.

11일, 동아일보에 따르면 9일 저녁부터 유해사이트였던 북한사이트 30개 중 28개에 대한 접속이 허용돼 방송통신위원회 관계자에 문의 하였으나, "알 수 없다"는 답변이 돌아왔다. 이에 본지가 방송통신심의위원회와 통화를 했으나, "신문을보고 알았다"는 입장을 보여 큰 충격을 주고 있다.

북한 웹사이트 접속 차단은 경찰청이 폐쇄할 사이트를 지정해 방송통신위원회(방통위)에 통보하면 방송통신심의위원회가 심사 후 SKT, KT 등 모바일 및 인터넷 서비스 업체들에 명령해 이뤄진다.

정부는 지금까지 '로동신문', '조선중앙TV', ‘우리민족끼리’ ‘내나라’ 등 북한이 해외에 개설한 홈페이지를 ‘유해 사이트’로 지정해 국내에서 접속 못하게 막아왔다.

10일 방통위 관계자는 “북한 사이트 차단을 해제하라는 지시는 지금까지 한 번도 받은 적이 없다. 현재 북한 사이트들이 자유롭게 접속되는 이유를 알 수 없다”고 동아일보와의 통화에서 말했다.

현재(11일 12시 20분 기준) 본지에서 확인해본 결과, 다시 '로동신문', '조선중앙TV', ‘우리민족끼리’는 유해사이트로 지정돼 접속할 수 없다는 문구가 나오는 상태지만, '서광', '룡마산'은 자유롭게 접속할 수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이에 방송통신심의위원회 관계자는 "방송통신위원회가 차단을 경찰에 요청하지만 방송통신심의위원회의 승인이 아니면 이뤄질 수 없는 사안인데, 현재 북한 사이트가 접속이 되니 의아하다"며 "(방송통신심의위원회)도 신문을보고 알았다"는 입장을 보여 논란이 한층 가증될 전망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