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강정민 원자력안전위원장은 국회 국정감사 출석을 앞두고 사직서를 제출했고, 입을 미리 맞추기라도 한듯 문재인 대통령은 사직서를 즉각 수리했다.
강 위원장은 지난 1월 원안위원장에 취임했다. 위원장 임기는 3년인데 임기의 1년도 채우지 못하고 스스로 물러났다.
강 위원장의 자진 사퇴의 표면적 이유는 교수 시절 지원받은 연구비 때문인 것으로 알려졌다. 자유한국당 등 야당은 “강 위원장이 한국과학기술원(KAIST) 교수 시절인 2015년 한국원자력연구원의 연구비를 받아 써 원안위원장 자격이 없다”고 지적해 왔다. 최연혜 자유한국당 의원은 강 위원장이 KAIST 교수로 재직한 2015년 원자력연구원으로부터 674만원의 연구비를 지원받았다고 했다.
원안위 설치법에 따르면 ‘최근 3년 이내 원자력 이용자나 원자력 이용 단체의 사업에 관여한 경우’를 위원 결격 사유로 정하고 있다. 이에 따르면 강 위원장은 원안위 위원으로 참여할 수 없다.
이에 대해 강 위원장은 “해당 연구에 참여한 적이 없다”면서도 연구비 사용에 대해선 부인하지 않았다. 강 위원장은 지난 12일 국정감사장에서 “결격사유 여부는 감사원 감사를 통해 밝히겠다”고 답했다.
이날 국정감사장에선 강 위원장의 자진 사퇴를 놓고 여야 위원들의 질타가 이어졌다. 정용기자유한국당 의원은 “국회 위증한 사례가 있어 이걸 회피하기 위해 사직서를 낸 것”이라며 목소리를 높였다. 신용현 바른미래당 의원은 “국감 당일에 차관급 인사가 사직서를 낸 건 초유의 사태”라며 “강 위원장의 무책임함에 책임을 물어야 한다”고 주장했다. 신 의원은 이어 "국회 위증 혐의로 고발할 예정"이라고 덧붙였다.
같은 쪽인 더불어민주당 이철희 의원도 “국회에서 문제제기를 했는데, 정부가 (사표를 수리하면) 국회를 무시하는 것”이라고 비판했다.
한편 강 위원장은 사직서 제출 이유를 묻는 중앙일보와 통화에서 "할말이 없다. 이해해 달라. 더이상 얘기할 수 없다"고 답했다.
그분께서 이해해 달라 하시니 이해를 해드려야 하나? 그렇다. 문 대통령께서 임명하고 그 사정을 친히 헤아려 즉각 사표를 수리해주셨다. 과연 그 수장에 그 부하다.
국민의 대표로 일하는 자들이 이렇게 책임감이 없을 수 있을까? 국민 세금 뜯어먹다가 불리하다 싶으면 언제든 박차고 나올 수 있는 국가직. 나라도 국영기관도 웃음거리 천지다.
'정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조리 꺽인 대한민국 주요 경기지표... 그러나 문재인 정부는 추석연휴 등 각종 핑계? (2) | 2018.10.31 |
---|---|
믿는 도끼에 발등 찍힌 전라북도? 문대통령이 '새만금 태양광' 선포하자, 전북의원 8명 반대성명 (2) | 2018.10.31 |
비건 미국 대표, 정의용 건너뛰고 임종석 먼저 만나... '상왕 임종석' 미국도 인정? (0) | 2018.10.30 |
천안함 폭침 주범 북한 리선권, 이재용 등 재벌 총수들에게 "냉면이 넘어가냐" "?" (16) | 2018.10.29 |
대한민국 군대는 성범죄자들의 천국? 무너진 군기강 중심엔 '국방부' (0) | 2018.10.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