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9일, 청와대에서 스티븐 비건 미국 국무부 대북정책 특별대표는 임종석 대통령 비서실장을 만났다. 북핵 실무를 담당하는 비건 대표가 정의용 국가안보 실장에 앞서 임 실장을 먼저 찾은 것은 굉장히 이례적인 일이다.

비건 대표가 청와대의 외교·안보 책임자인 정 실장 대신 임 실장을 만난 이유에 대해 청와대 관계자는 "미국 측 요청 때문"이라고 밝혔다. 비건 대표는 임실장과의 만남 이후인 30일 정 실장을 만날 계획이다. 외교 소식통은 "최근 우리 정부가 추진하는 남북 경협, 대북 제재 완화 등을 두고 한·미 간 이견이 표출되는 상황에서 문재인 대통령의 구상과 진의를 파악하려는 의도가 담긴 것으로 보인다"고 했다.

여권 관계자는 "미국은 '남북 관계가 잘되면 비핵화도 잘된다'는 한국의 입장을 이해하지 못하고 있다"며 "그래서 남북 관계를 실질적으로 주도하는 임 실장을 만나고 싶었을 것"이라고 했다. 면담에는 미국 측에서 해리 해리스 주한 미국 대사와 앨리슨 후커 백악관 국가안보회의(NSC) 한반도 보좌관이 배석했다.

청와대는 면담 이후 "한반도 비핵화와 평화 정착, 그리고 2차 북·미 회담 진행에 대해 심도 깊은 대화가 오갔다"고 밝혔다. 청와대 측은 "임 실장은 비건 대표에게 '북·미 회담을 성공적으로 이끌어 달라'고 당부했고, 비건 대표는 한국 정부의 지원을 요청했다"고 밝혔다. 청와대는 비건 대표가 요청했다는 '한국 정부 지원'의 구체적 내용은 밝히지 않았다.

그러나 면담에서는 최근 한·미 간 논란이 되고 있는 남북 사업과 대북 제재 문제 등이 논의된 것으로 알려졌다. 비건 대표는 임 실장에게 남북 철도 연결 및 군사 합의 등이 북한 비핵화를 추동한다는 청와대 논리에 대해 설명을 들은 것으로 알려졌다. 임 실장은 비건 대표에게 "과거 남북 관계가 좋을 때 비핵화도 진전이 있었다"며 남북 관계와 비핵화의 '선순환'을 강조한 것으로 알려졌다. 이에 대해 비건 대표는 제재를 통한 비핵화 원칙과 함께 한·미 공조의 중요성을 강조한 것으로 전해졌다.

그동안 세간에 떠돌던 '임종석 상왕설'이 기정사실화 되고 있는 양상이다. 결국 미국측도 문재인 대통령의 상왕이 누구인지 알고 있는 셈이다. 청와대도 이젠 대놓고 임 실장을 전면에 내세우고 있다. 이를 접하고도 그러거나 말거나 자신 밖에 못보는 국민들... 종말에 그 실체를 접하고 소스라칠 날도 머지 않았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