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6일, 탈북자들과 북한 인권 전문가들은 미-북 정상회담 직후 트럼프 대통령이 "김정은이 주민들을 사랑한다"고 말한 것과 폭스 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을 두둔한 것에 대해 강한 반발심을 나타냈다.

앞서 폭스뉴스와의 인터뷰에서 김정은 정권에서 행해진 인권유린과 처형들에 대한 질문에, 트럼프 대통령은 "다른 많은 이들도 정말 나쁜 짓을 저질렀다"고 하는 등 김정은을 두둔하는 발언을 하기도 했다.

이러한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들을 두고 뉴욕에 본부를 둔 국제인권단체 휴먼라이츠워치의 필 로버트슨 아시아 부국장은 VOA(미국의소리)와 인터뷰에서 "김 위원장이 주민들을 사랑한다는 트럼프 대통령의 말은 사실이 아니다"고 정면으로 반박했다.

그러면서 로버트슨 부국장은 "김정은이 주민들의 강제 노동을 통해 무기를 개발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그레그 스칼라튜 북한인권위원회 사무총장도 "트럼프 대통령의 말이 사실이라면 김 위원장이 북한의 구금시설들(정치범 관리소 등)을 없애야 한다"고 압박했다.

또한 "김 위원장이 핵과 미사일 개발에 전용되던 자원들을 주민들을 위해 사용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워싱턴의 민간단체인 북한자유연합의 수전 숄티 대표는 "김 위원장이 사랑하는 것은 북한 주민들 가운데 핵심계층 1% 뿐"이라고 우회적으로 비판했다.

그러면서도 "트럼프 대통령이 그 같이 말한 이유를 이해할 수는 있다"고 덧붙였다.

이는 "트럼프 대통령이 핵무기 제거와 북한 개방 등에서 진전을 이루기 위해 노력하면서 사용하는 하나의 전략으로 볼 수 있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을 통해 북한인권 문제도 다룰 수 있는 과정을 시작한 것으로 믿는다"고 말했다.

탈북자 출신의 이성주 북한인권시민연합 컨설턴트도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을 정치적인 발언으로 해석했다.

이성주 컨설턴트는 “지금 미국이 북한과 정상회담을 한 상황이고, 또 앞으로 북한의 비핵화를 위해서 북한하고 미국이 여러 가지 대화들을 해야 하고, 북한의 비핵화 뿐 아니라 정치범수용소 라든지 북한의 인권 문제에 대해서도 대화를 해야 하는데, 그런 맥락에서 김정은을 좀 칭찬해 준 것 아닌가 라고 나는 받아 들였다"고 설명했다.

이어 "트럼프 대통령이 이번 정상회담에서는 인권 문제를 조금밖에 언급하지 않았지만, 후속 회담들에서는 북한인권 문제를 많이 언급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고 덧붙여 강조했다.

그러나 미국 서부에 정착한 탈북자 폴 씨는 "트럼프 대통령의 발언에 안타까움을 느꼈다"고 말했다.

폴 씨는 “트럼프 대통령도 하나의 쇼로서 말을 하면서 김정은의 비위를 맞춰주려고 그런 말을 하는지는 어느 정도 짐작이 가지만, 지금까지 해 온 것이 있고 나쁜 짓들이 있는데, 자기 친족까지 죽이는 사람을 놓고 어떻게 그런 말을 했는지, 참 마음이 아프다”고 의아해했다.

폴 씨는 "북한은 여전히 철창 없는 감옥"이라며, "미국과 회담하는 김 위원장의 목적은 정권 유지일 뿐"이라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트럼프 대통령이 앞으로 북한의 인권 문제를 우선적으로 해결해 줄 것"을 당부했다.

서울의 민간대북방송인 국민통일방송의 이광백 대표는 "트럼프 대통령이 보다 적극적으로 북한인권 문제를 제기하지 않은 것에 아쉬움을 느낀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북한의 인권 문제는 다른 나라들의 문제와는 차원이 다르다"고 강조했다.

이 대표는 “훨씬 더 심각하고 훨씬 더 즉시 개선이 필요한, 빠른 개선이 필요한 문제이기 때문에 다른 여러 나라의 문제처럼 북한인권 문제를 다룰 것이 아니라 보다 적극적으로 개선을 촉구하는 그런 목소리를 내줬으면 하는 아쉬움이 있다”고 토로했다.

이 대표는 "인권 문제가 핵 문제만큼 중요하다"며, "북한인권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미국과 국제사회가 적극 노력해야 한다"고 트럼프 대통령이 제대로 된 목소리를 내주길 당부했다.

28일, VOA(미국의소리)는 지난 25일 2차 남북정상 회담 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에게 “우리 김정은 위원장님은 우리 한국에서도 아주 인기가 높아졌고, 아주 기대도 높아졌습니다”, “조.미정상회담이 성공하기를 기원하겠습니다.”는 발언을 접한 탈북민들의 분노가 극에 달하고 있다고 전했다.


이들은 김 위원장이 비핵화를 한 것도 아니고 세계 최악의 인권을 개선한 것도 아닌데 독재자를 지나치게 미화한다는 지적했다.

북한에서 탈북해 미국에 난민으로 입국한 뒤 명문대학을 졸업하고 현재 특정 분야의 전문가로 사는 주 모 씨는 “북한에 관해 너무 미화하고 있지 않나 하는 생각이 든다. 물론 (청와대에서) 일을 하는 많은 사람들이 진보 운동권 계열이라고 하지만, 그것과 북한 정권을 인정하고 그것들을 합리화하는 것은 다르다. 물론 국가 간 대화이니까 상대방을 존중하고 격식을 갖춰져야 하는 것은 좋다. 그런데 북한 정권의 본질을 알 만큼 다 아는데도 불구하고 너무 정상국가처럼 예의와 격식을 갖추려는 것을 보면서, 그 격식 안에서 너무 차이가 나면 본질을 잊어버리지 않을까 하는 우려가 있다.”고 우려를 표했다.

미 남부에 사는 정 씨는 “나는 깜짝 놀랐다. 북한 정권의 독재 탄압에 분노해도 시원치 않은데 무슨 그 사람이 핵을 포기했나, 뭘했나? 그 소리를 들으니까 너무 슬프다. 신음하는 북한 국민에 대한 우롱이고 모욕이고 망발이다.”

27일, 문 대통령의 발언에 논란이 일자 청와대 관계자는 기자들에게 “북한에 가서는 그쪽 언어를 써주는 게 통상적인 예우”라며 김정은 위원장도 4월에 남측에 내려와서 한국식 언어를 사용했다고 지적했다.

청와대 관계자가 말한 김 위원장이 1차 회담에서 남측 말을 사용하며 예의를 지켰다는 것은 “탈북자”, “북한군” 이다.

그러나 미 터프츠 대학의 이성윤 교수는 “김정은이 한국에서 인기가 높다고 말한 것은 진실이 아닐 뿐 아니라 지나친 아첨”이라고 지적했다고 VOA는 전했다.

이어 이 교수는 "지난 4·27 정상회담에 따른 설문조사 결과 김정은의 이미지에 대한 호감도가 높아졌다고 말할 수는 있지만, 그가 한국에서 인기가 매우 높다는 것은 남북한 현실을 볼 때 '공격적이고 품격이 없으며 비웃을만한 발언'"이라고 꼬집었다.

그러면서 이 교수는 이런 발언은 “노무현 전 대통령이 지난 2005년 중국 칭화대 연설 후 질의응답에서 가장 존경하는 정치인으로 덩샤오핑과 함께 마오쩌둥을 말한 것처럼 전적으로 부적절”하다고 말했다.

이유는 마오쩌둥은 문화혁명 등으로 수천만 명을 학살한 독재자로 악명이 높고 북한은 유엔이 현대사회의 어떤 국가에서도 유례를 찾기 힘든 반인도 범죄 국가로 지목해 국제형사재판소(ICC)에 이를 회부해야 한다고 권고된 상황이기 때문이다.

북한 김씨 정권의 대량 학살 중단 캠페인을 위해 워싱턴에 머물고 있는 탈북작가 지현아 씨는 “수많은 북한 주민들을 굶겨 죽이고 지금도 주민의 인권과 생명을 무시하는 학살자(김정은)를 미화하는 한국 대통령의 말에 어처구니가 없다”고 말했다.

또 지 씨는 “암담하다. 북한 여종업원을 강제 송환할 수 있다는 말도 나오고 이런 상황에서 탈북자들의 분노가 극에 치달아 있다. 평화라는 말이 북한 주민의 인권을 해결하는 것인지, 아니면 북한 정권이 요구하는 대로 다 남한에서 해주면서 전쟁 안 일으키게 그냥 그렇게 하는 건지 이것을 잘 분간 못하겠다.”고 토로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