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현지시간), 미국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남북 철도 연결 사업과 관련해 처음으로 유엔 안보리의 ‘특정 분야별 제재’를 거론하며, 북한 핵 프로그램 종식을 도울 것을 요구했다.

이날 '북한 철도에 대한 남북 공동조사가 대북제재 대상이 아니라는 한국 통일부의 입장에 동의하느냐'는 VOA의 질문에, 이 관계자는 “모든 유엔 회원국들이 유엔 안보리 결의에 의해 금지된 ‘특정 분야 제품(sectoral goods)’을 비롯해 유엔 제재를 완전히 이행하기를 기대한다”면서 이같이 말했다.

그러면서 "모든 나라가 북한의 불법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을 끝내는 것을 도울 책임을 심각하게 받아들이기를 기대한다"고 넌지시 경고했다.

'주한미군사령관이 겸임 지휘하는 유엔군사령부가 북한 철도에 대한 남북 공동조사를 막은 것을 옳은 결정으로 받아들이냐'는 추가 질문에도 이 관계자는 "‘특정 분야 제품’을 비롯한 제재를 철저히 이행해야 한다"는 일관된 원칙을 강조했다.

이런 미국의 입장과는 달리 문재인 정부는 다른 주장을 하고 있다. 지난달 31일 이유진 한국 통일부 부대변인은 정례브리핑에서 "남북 철도 공동조사는 제재대상이 아니다"며 "공동조사와 관련해 미국, 북한과 계속 협의하고 있고 한국 측 준비가 완료되면 북측과 추가 일정을 협의해 확정되는 대로 공지하겠다"고 위 관계자와는 다르게 말했다.

지난달 8일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VOA에 “미국이 심하게 통제하고 있어 스트레스가 많다”는 송영길 한국 더불어민주당 의원의 발언에 대해 “북한 핵이 더 이상 요인이 되지 않을 때까지 제재는 그대로 유지될 것”이라고 단호하게 답했다.

그러면서도 미국과 미국의 동맹인 한국, 일본은 북한에 대한 일치된 대응을 긴밀히 조율하는데 전념하고 있다며 ‘협력’을 강조했다.

일주일 뒤인 15일, 남북 철도와 도로 연결이 한반도 공동번영의 시작이라며 "올해 안에 공사를 시작하겠다"는 문재인 대통령의 발언에 대한 논평 요청에도, 국무부 관계자는 "미국과 한국이 북한 문제와 관련해 밀접히 협력하고 있고 북한에 대한 일치된 대응을 조율하기 위해 긴밀히 접촉하고 있다"는 선에서 말을 아꼈다.

그러나 닷새 뒤인 20일 한국 통일부가 경의선 북측 개성~평양 구간 고속도로에 대한 현지공동조사를 이날 완료했다고 밝히자, 남북관계 개선 속도에 자제를 주문하는 단호한 어조로 수위를 높였다.

'북한 철도와 도로를 현대화하려는 한국 정부의 시도가 국제사회의 대북 압박 캠페인과 병행될 수 있느냐'는 VOA의 질문에 당시 국무부 대변인실 관계자는 "미국은 싱가포르 정상회담에서 판문점 선언을 재확인했고 이는 남북관계의 진전이 비핵화의 진전과 엄격히 보조를 맞춰 진행돼야 하기 때문이"라고 답했다.

또한 "남북관계의 개선은 북한의 핵 프로그램 문제의 해결과 별개로 진전될 수 없다"고 거듭 강조했다.

앞서 남북한은 지난달 22일 서울에서 출발한 남측 열차를 군사분계선(MDL)을 넘어 개성을 거쳐 신의주까지 운행하고 27일 귀환하는 일정의 북측 철도에 대한 공동조사를 진행할 계획이었지만, 비무장지대(DMZ)를 관리하는 유엔사가 방북과 관련한 세부사항을 요구하며 MDL 통행계획을 승인하지 않아 무산됐다.

7일(현지시각), 북한 외무성 대변인이 "미국의 압박이나 위협이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공개 비난한 데 대해 캐티나 애덤스 국무부 동아시아태평양 담당 대변인은 VOA(미국의소리)의 논평요청에 "북한의 대량살상무기를 지체 없이 폐기시키는 게 목적"이라며, "압박을 계속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이날 애덤스 대변인은 "북한 대량살상무기 프로그램의 영구적인 폐기를 지체 없이 달성하는데 전념하고 있다"며 "미국의 목표는 변하지 않았다"고 밝혔다.

앞서 북한 외무성 대변인은 조선중앙통신과의 인터뷰를 통해 "미국이 평화를 위한 북한의 협상 의지를 나약함으로 오판해서 계속 압박이나 위협을 해온다면 북핵 문제 해결에 도움이 안 될 것"이라고 주장했다. 그러면서 "판문점 선언에 명시된 비핵화가 미국이 이끈 제재와 압박의 결과인 것처럼 여론을 오도하고 있다"고 비판했다.

이에 대해 애덤스 대변인은 "국제적인 대북 압박 캠페인은 북한이 비핵화할 때까지 계속될 것"이라는 점을 거듭 분명히했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