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7일, '미래를 여는 청년 변호사모임(이하 미청변)'은 122만 명을 돌파한 "문재인 대통령 탄핵을 촉구합니다" 국민청원 클릭 수를 조작한 혐의로 청와대 국민청원 사이트 담당자 등을 컴퓨터업무방해 혐의로 대검찰청에 고발했다.


● 청년 변호사들 "청와대가 장난치지 못하게 해야 한다" ●

지난 4일에 올라온 해당 탄핵 청원 참여자 숫자가 갑자기 줄었다가 늘어나는 현상이 반복됐다는 동영상이 나오는가 하면, 네이버에서 '대통령 탄핵 청원' 검색이 잘 안 된다는 의혹까지 제기됐다. 이에 청와대는 "청원에 개입한 적이 없다"며 가짜 뉴스에는 엄정 대응하겠다고 반박했다.

한 네티즌은 "실시간으로 탄핵 청원 동의 숫자를 지켜보던 중 갑자기 몇백 명이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현상을 수차례 목격했다. 시스템 오류가 아니면 조작 아니냐"면서 동영상을 공개했다. 동영상에는 국민청원 동의 숫자가 100만1208명에서 100만707명으로 줄어드는 장면이 나온다.

또 다른 네티즌들도 1~2분 간격으로 촬영한 휴대전화 캡처 사진을 올리며 "100만명을 넘어선 청원 동의 숫자가 99만9000명대로 갑자기 줄었다"며 "특히 99만~100만명에서 숫자가 줄었다가 다시 늘어나는 현상이 반복됐다"고 말했다.

미청변은 뉴데일리와 인터뷰엣니 "문재인 대통령 탄핵 국민청원의 수치가 오르락 내리락 하는 자료를 동영상으로 확보했다"면서 "검찰이 실제로 청와대를 압수수색할 수도 없고, 최근 청와대의 행태로 봐서 압수수색하게 해줄 것 같지도 않지만, 이들에게 최소한 이런 짓을 경고라도 해야겠다는 생각에 검찰 고발을 진행한다"고 말했다.

이어 "수사가 안 되더라도 이 고발로 청와대가 장난치지 못하게 해야 한다는 점도 고려했다."고 강조했다.


● '구글'과 달리 '네이버'에선 이미 종료된 탄핵 청원이 뜬다? ●

한편 네이버에서 '문재인 탄핵 청원'을 키워드로 검색하면 현재 진행 중인 탄핵 청원이 아니라 지난해 종료된 탄핵 청원만 뜬다. 네이버 검색창에서 '문재인 탄핵 청원'을 검색하면 이미 종료된 작년 4월 문 대통령의 대북 정책을 비판하는 탄핵 청원이 최상단에 뜬다. 이 청원은 작년 5월 만료돼 청와대가 답변까지 내놨다.

그런데 현재 진행 중인 문 대통령 탄핵 청원은 검색되지 않는다. 이 때문에 구글에서 '문재인 탄핵 청원'을 검색하면 최근 탄핵 청원이 첫 화면에 노출되는데, 네이버는 과거 유사 청원만 노출시켜 탄핵 청원이 이미 끝난 것처럼 자칫 오인하게 만들수도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25일, 박양우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우한 폐렴’이라 불리며 전 세계적으로 확산 중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로 인한 중국인 관광객 감소를 우려해 오는 27일 오후 2시부터 종로구 경복궁과 동대문 웰컴센터 등 주요 관광지 현장을 방문할 예정이라고 밝혔다.


● 국민 안전은 뒷전... 관광객 줄어들까 고민중인 문재인 정부... ●

문체부는 박 장관이 직접 관광 접점 현장을 방문해 종사자들을 격려하고 애로사항을 점검할 계획할 계획이라고 밝혔다.

박 장관은 우선 한국을 찾는 외국인 관광객들이 가장 많이 방문하는 광화문을 시작으로 근정전 현장 등지를 시찰한다. 이어 코리아그랜드세일 현장을 찾아 종사자들을 격려할 예정이다. 이어 동대문 상업시설인 두타몰 등 현장을 찾아가 애로사항을 들어볼 계획이다.

정부는 지난해 1,725만명 이상의 역대 최대 외국인 관광객을 맞이한 후 올해 그 목표를 2,000만명으로 높여 잡은 까닭에 갑작스런 ‘우한 폐렴’ 확산으로 인한 관광업계의 위축을 우려하고 있다.


● 전세기까지 동원한 미국의 자국민 보호... 필리핀 중국인 전원 추방... ●

반면 세계 각국은 문재인 정부와 전혀 다른 대응 방식을 보이고 있다. 일간 인콰이어러 등 현지 언론에 따르면 필리핀 당국은 우한에서 온 중국인 관광객 634명을 모두 귀국시키기로 했다.

이뿐만이 아니다. 미국 정부가 오는 26일(현지시간) 전세기를 이용해 '우한 폐렴'의 진원지인 우한(武漢)에 남은 자국민을 귀국시키는 방안을 추진하고 있다고 미국 일간 월스트리트저널(WSJ)은 보도했다.

심지어 북한도 피해 차단을 위해 베이징과 평양을 오가던 ‘에어차이나’의 운항을 당분간 중단했고, 북한 내·외국인의 중국 여행도 잠정 금지한 것으로 알려졌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