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일, VOA(미국의소리)는 각국 언론사와의 전화회의에서 톰슨 차관이 “선박 간 환적물은 석탄이나 석유 제품이든, 사치품이든 북한 주민이 아닌 김정은 정권에 돌아간다”며 단속을 더욱 강화할 방침임을 밝혔다고 전했다.
이날 VOA는 톰슨 차관이 “불법 환적물이 북한의 핵과 미사일 프로그램에 다시 들어간다는 점을 해당 지역 국가들이 인지하고 제재 참여에 나서기 시작했다”면서 이같이 전했다.
VOA에 따르면 톰슨 차관은 "환적 차단이 거대한 바다 위에서 이뤄지기 때문에 건초더미에서 바늘을 찾는 것과 같은 어려움이 있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선박들이 장소를 바꾸거나 차단을 피하는 기술에 적응하고 있어 국제 연대와 정보 공유가 중요하다"고 강조했다고 했다.
이어 VOA는 톰슨 차관이 "트럼프 대통령과 폼페오 국무장관이 한결같이 압박 활동의 강화를 지시했다"며 "미국 정부는 북한의 비핵화를 압박하기 위해 계속 이같은 정책을 추진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했다.
VOA는 톰슨 차관이 "북한의 핵 확산 방지도 지난주 싱가포르에서 열린 아시아안보회의의 주요 의제였다"면서 아시아 국가들 간 해상안보 협력과 국경과 관세 통제 등을 통해 북한의 핵 기술과 불법 무기 확산을 차단하는 방안을 논의했다는 설명을 덧붙였다.
이어 VOA는 한반도 비핵화에 대한 미국과 북한의 정의가 같은지 묻는 질문에 톰슨 장관이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위원장이 합의한 비핵화는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를 말한다”면서 “이는 지금까지 바뀌지 않았고, 최종 결승선에 이르러서도 변하지 않는 기준이 될 것”이라고 강조했다고 전했다. 그러나 VOA는 톰슨 차관이 중국과 러시아가 주장하는 한반도 비핵화는 미국과 다르다는 점을 지적했다고 전했다.
이어 톰슨 장관은 “중국과 러시아가 같은 페이지에 있기를 원하지 않는 듯하지만, 계속해서 대화를 이어가는 것이야말로 외교이며, 최종 단계에서 국제사회는 북한의 최종적이고 완전히 검증된 비핵화를 원할 것”이라고 말했다고 했다.
앞서 미 국방부는 지난달 의회에 제출한 연례 보고서에서 '중국의 한반도 정책'은 비핵화와 북-중 국경지대에서의 '주한미군 부재'가 목표라고 밝힌 바 있다.
'정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중국의협박] "미·중 갈등 속 한국은 올바른 선택해야" (0) | 2019.06.05 |
---|---|
[Why?] 직원 월급 주기도 힘든 대덕구청... 김제동에게 2시간에 1550만원 강연료 줘... (23) | 2019.06.04 |
국민세금으로 연봉 7억 받는 김제동, 헝가리 유람선 참사 알고도 '도쿄 밀회' (8) | 2019.06.03 |
[도를넘었다] 더불어민주당 이젠 여성 변기까지 챙기나? (0) | 2019.06.02 |
박원순 "서울시민 세금으로 북한에 100만불 지원하겠다" (8) | 2019.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