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정은과 문재인.


통일부가 지난달 27일 북한 기업의 한국 내 영리활동을 가능하게 하는 남북교류협력법 개정안을 입법 예고한 것이 뒤늦게 전해져 논란이 되고 있다.

앞서 통일부는 이날 이 같은 개정안을 입법 예고했다. 개정안이 미국 주도의 대북 제재에 저촉될 수 있다는 지적이 나왔지만 통일부는 수정 없이 입법을 강행키로 했다.

통일부가 지난달 공개한 남북교류협력법 개정안은 '경제협력사업(제17조의 3)' 조항을 신설해 남북 경협 범위를 구체화했다. 한국과 북한 기업이 한국이나 북한, 제3지역에서 공동 또는 독자적으로 영리활동을 할 수 있는 법적 근거를 마련했다.

특히 북한 기업이 한국의 주식과 부동산, 저작권 등을 소유할 수 있는 길도 열었다.

개정안에는 북한 측과 거래하는 법인이나 단체의 사무소를 북한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내용도 포함됐다.

심지어 통일부는 북한 주민과의 단순 접촉은 아예 신고하지 않아도 되고, 남북 교류협력 사업을 목적으로 만날 때는 허가 없이 신고만 하면 되도록 한 내용을 개정안에 반영하려다 비판 여론에 일단 유보했다.

지난 5월 통일부가 이런 방침을 공개하자 대북 경계망이 느슨해질 수 있다는 지적이 잇따라 제기돼 왔다. 외교부도 안보리 대북 제재가 금지한 합작으로 간주되거나 금융 거래 금지 규정 등을 어길 소지가 있다는 우려를 제기한 상황이다.


문재인 정부가 최근 공개한 공개한 ‘남북교류협력에 관한 법률’(교류협력법) 개정안 초안을 살펴보니 북한 기업이 한국에서 영리 활동을 할 수 있는 조항이 신설된 것으로 확인됐다. 쉽게 말해 북한 기업이 한국에서 돈 벌고 한국인 고용도 가능하며 심지어 부동산, 주식까지 보유 할 수 있도록 법을 바꾸겠다는 것이다.


● 법 개정시... 북한이 한국에서 부동산, 주식을 보유할 수 있고 한국인 근로자까지 고용할 수 있다. ●

이는 미국 주도의 대북 경제 제재와 정면 배치된다. 하지만 문재인 정부는 비핵화 대화에만 매달리지 않고 남북 협력까지 밀어붙이겠다는 심산이다. 법 개정이 추진 될 경우 “남북 협력과 비핵화 속도를 맞추라”는 미국의 제재 방식을 대놓고 비웃는 꼴이 된다.

남북 경협 활동 등을 정의한 ‘경제협력사업(제18조의 3)’이 신설된 것으로 파악됐다. ‘남한과 북한의 주민이 경제적 이익을 주된 목적으로 상대방 지역에서 이윤 추구를 할 수 있다’는 내용이다. 한국 기업이 북에 가서 기업 활동을 하는 것뿐만 아니라 북한 기업이 한국에서 경제 활동을 하는 것을 보장하는 근거를 개정안 초안에 새로 추가한 것.

구체적인 허용 범위로는 △상대방 지역이나 제3국에서 공동 투자 및 결과에 따른 이윤 분배 △증권 및 채권 △토지, 건물 △산업재산권, 저작권 등 지식재산권 △광업권, 어업권, 전기·열·수자원 등 에너지 개발·사용권 등이 포함됐다. 여기에 북한이 한국에서 사업을 할 때 제3국 기업과의 합작도 허용하며, 북한 기업이 한국에서 한국인 노동자를 직접 고용하는 행위도 허용된다.


● 대놓고 미국의 대북 제재를 비웃는 문재인 정부... ●

이는 기존 국제사회 주도의 각종 대북 제재와 충돌하는 대목이 많다. 유엔 안보리 결의 2375호는 회원국은 자국 내에서 북한 기업체나 개인들과 기존 및 새로운 합작사나 협력체를 개설, 유지 운영하는 것을 금지하고 있다. 안보리 결의 2397호는 벌목공, 식당 종업원 등 유엔 회원국 내에서 소득 활동을 하는 모든 북한 노동자를 지난해 12월 22일까지 북한으로 송환토록 하고 있다.

앞서 미 국무부는 정부가 남북 교류를 금지한 5·24조치의 사실상 폐기, 북한 주민과의 접촉을 활성화하는 교류협력법 개정 추진 의사를 밝혔을 때 “반드시 비핵화의 진전과 보조를 맞춰 진행되도록 동맹인 한국과 조율하고 있다”고 강조해 왔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문재인 정부는 이 내용이 담긴 교류협력법 개정안에 대한 온라인 공청회를 지난달 28일 마쳤고 연내 정부 입법으로 발의할 예정이다.

+ Recent post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