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일, 인터넷뉴스 팬앤드마이크에 따르면 친문(親文) 성향 지지자들이 좌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에 '우파(보수) 성향의 유튜버를 '가짜뉴스'라고 음해하자'는 취지의 글을 조직적으로 유포한 후, 이를 실행에 옮긴 것으로 밝혀졌다.
● "우파 성향 유투브에 ‘가짜뉴스’ ‘Fake News’ 댓글 남기자" -> 실제로 팬앤마이크 와 윤튜브, 가로세로연구소에 남겨... ●
이들은 ‘우파 성향 유튜브 영상에 ‘가짜뉴스’ ‘Fake News’ 라는 등의 댓글을 남기자며, “이렇게 하면 유튜브 인기 영상 순위에서 (우파 영상을) 끌어내릴 수 있다”는 방법을 공유했다.
팬앤마이크에 따르면, 유튜브에 올라간 ‘7월 4일 6시 PenN 뉴스’ 영상 댓글에는 ‘Fake News’ ‘가짜뉴스 아웃’ 등의 댓글이 다수 달렸다. 댓글을 남긴 대다수 이용자는 프로필 사진이 없거나 영문명을 내걸고 있었다.
PenN 뉴스의 경우 영문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지 않다. 겉으로 보이는 대로라면, 영문권 유튜브 이용자들이 굳이 국내 뉴스를 전하는 영상에 찾아와 ‘가짜 뉴스’라는 댓글을 남긴 것이다. 남긴 댓글에는 일방적 비방만 있을 뿐, 구체적으로 어떤 내용이 ‘가짜뉴스’인지는 언급하지 못하고 있다.
이같은 ‘우파 인기영상 끌어내리기’ 작업은 지난달 말부터 시작된 것으로 보인다. 클리앙을 위시한 다수 친문 성향 온라인 커뮤니티에서 이 시기 ‘유튜브 가짜뉴스 댓글달기’라는 캠페인을 시작한 점이 이날 확인됐다.
● '싫어요' 눌렀을 때, ‘인기 급상승 동영상’ 선정에 영향이 있는지 '검증 작업’까지... ●
팬앤마이크에 따르면, 이들은 ‘효과 검증 작업’도 했다. 자신을 ‘고양이뉴스’라고 밝힌 한 네티즌은 지난달 말 한 온라인 커뮤니티 게시글에서 “유튜브 싫어요 댓글달기 운동이 과연 효과가 있는 것인가 한 번 실험해봤다”라며, 유튜브 내 ‘인기 급상승 동영상’ 중 자유우파 성향 게시물에 들어가 ‘싫어요’ 버튼을 누른 뒤 ‘가짜뉴스’라는 댓글을 남겼다고 한다.
이같은 일(싫어요 클릭 및 ‘가짜뉴스’ 댓글 게시)이 조직적이고 반복적으로 이뤄지고 나자, ‘인기 급상승 동영상’ 5위가량을 유지하던 영상은 12시간 만에 13위가 됐다. ‘고양이뉴스’ 측은 이를 두고 “가짜뉴스 댓글이 달리니까 광고주들이 졸라 싫어하나봄. 가짜뉴스 싫어요 댓글달고 나오기 하면 가짜뉴스 사라짐”이라며 다른 친문 네티즌들을 부추겼다. ‘고양이뉴스’는 지난 3월 이명박 전 대통령 자택에 쥐약을 전달하려 시도해 논란을 사기도 한 강성 좌파 네티즌이다.
● 문재인 비판하던 우파 유투버들 피해 사례 속출 ●
사실에 근거해 문재인 정부의 국정운영 관련에 대한 비판 영상을 다수 올려온 윤서인 윤튜브 대표는 1일 페이스북 게시물에서 “내 영상 밑에 갑자기 어디선가 좌표 찍고 몰려와서 ‘가짜뉴스’라고 댓글 다는 사람들 엄청 많다”며 “이렇게 하면 유튜브 알고리즘상 나한테 피해를 줄 수 있다고 생각들 하는 것 같은데...그렇다면 지능이(의심된다)”라고 했다.
이에 ‘가로세로연구소’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강용석 변호사가 “ㅎㅎ 우리도”라고 했고, ‘배승희 변호사’ 채널을 운영하고 있는 배승희 변호사도 “요즘 지령인가 보다. 나도(내 영상에도) 무지 달린다”고 했다.
● 문재인 지지자들 文을 위해서라면 여론조작까지 한다 ●
팬앤마이크에 따르면, 이들은 자신들의 커뮤니티 내에서 자생적으로 발생하는 문재인 정부를 비판성 게시물은 ‘통제’하고, 논란성 사안에는 ‘좌표’를 찍고 몰려가 정부의 입장을 옹호하거나 대변하는 의견들을 잔뜩 남긴다.
지난 5월11일에는 한 맘카페에서 문 대통령을 비판하는 네티즌들이 친문 운영진의 운영행태를 문제삼았다가 ‘진압’ 당했고, 지난달에는 다뉴브강 사고에 대한 문재인 정부 대응이 잘 됐다며, 헝가리 총리에게 ‘분노’를 느끼는 현지 시민들이 있다는 허위사실을 사실인 것처럼 주장하기도 했다. 자유한국당 청원 해산 등에서도 이런 ‘여론 조작’ 가능성이 제기되기도 했다.
● '(조작행위)법적으로 문제 삼아야 된다' ●
황성욱 변호사는 5일 펜앤드마이크와의 통화에서 “(친문 네티즌들의 행태는) 일종의 업무방해로, 고소는 가능하겠지만 현재의 경찰이나 검찰은 기각시킬 가능성이 높다”고 말했다.
그러면서 “법적 대응을 한다면 집단소송이 아닌 개별소송으로 접근해야 하며, 수사기관이 나설 수밖에 없도록 각 유튜브 채널들이 법적으로 문제삼아야 (공론화시킬 수 있다)”고 말했다.
'정치 기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SBS 앵커 출신 김성준, '지하철 몰카' 혐의로 사직 (0) | 2019.07.08 |
---|---|
G20에서 "문재인이 사라졌다" vs "가짜뉴스", 진실은? (0) | 2019.07.07 |
"트와이스 사나 퇴출하자", 또 선동 당하고 피해만 입을 '개.돼지들' (0) | 2019.07.05 |
북한, 미국에 "한국은 빠지는게 좋겠다", 가로세로연구소의 보도 '적중' (0) | 2019.07.05 |
내년 6.25 기념사업 북한과 공동 개최 검토중... "이래도 참을 건가?" (0) | 2019.07.04 |